구제역과 천지병
늙고 병든 말이 무리해 달리다가 쓰러져 죽어가고 있다. 말 앞에 서 있는 어린
주인 아가씨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그러자 말도 함께 울기 시작한다. 배우 임수
정이 주연한 영화 ‘각설탕’의 한 장면이다. 주인공이 대화하면서 눈물을 보이자
말이 함께 울어서 촬영한 것이란다. 이렇게 인간과 동물도 진실한 마음에 서로
감동하고 소통한다.
그런데 이런 동물들이 짐승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인간에 의해 일방적으로 살해당하고 있다. 2001년부터 영국, 중국 등 30여 개 나라에서 수천만 마리의 동물을 희생시킨 구제역이 2010년 가을부터 한반도 전역으로 다시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보건당국에서는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반경 500미터 내에 있는 살아 있는 가축을 죽일 것을 지시했다. 인간이 자신들의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병에 걸리지도 않은 동물까지 살처분하는 것이다.
현재 가축 공동묘지가 한반도 전역에 4500곳이나 있다고 전해진다. 한 곳에 700마리 정도의 가축이 집단 매몰되어 있다. 학계에서는 가축의 매몰지에서 유출되는 부패 물질이 하천과 강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할 환경오염재앙을 걱정한다. 직업인 의사의 시각으로 보면, 2차 환경오염으로 콜레라와 같은 수인성 전염병이나 새로운 형태의 전염병이 발병하여 창궐하지는 않을까 염려된다. 구제역으로 인한 인간 마음의 상처도 큰 문제이다. 흰옷 입은 저승사자라 불리는 방역팀들이 겪고 있곤 하는 ‘구제역 트라우마’. 잠결에 소돼지의 비명소리가 환청으로 들려 깜짝 놀라 깨어난다는 것이다.
수많은 생명을 죽이면서 느꼈던 중압감과 죄책감. 그 충격 속에서 삶에 대한 아름다운 정서가 무참히 깨져 버렸고 생명의 순수의식이 무너져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렇게 보건정책을 담당하는 실무진 담당자들의 정서가 무너져 내리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대한민국의 축산업도 함께 무너져 내리고 있다. 경제적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가축과 교감을 나누며 자식 키우듯 돌보던 농민들이 느끼는 참담함, 망연자실, 허탈은 이루 말로 다 할 수 없을 것이다. 자칫 광우병 사태 때와 같은 사회문제를 야기하여 혼란을 유발시키지 않을까 우려된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21세기 초두에 벌어지고 있는 동물들의 떼죽음은 70억 인간을 먹여 살리는 지구가 한계상황에 봉착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지구의 생태계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인구증가 문제, 이로 인한 식량문제와 환경오염 문제, 그리고 자연재앙의 문제와 생명의 근원인 물 부족 문제까지 지구는 현재 큰 병이 걸려 있다. 인간은 지구라는 어항의 썩은 물속에 살고 있는 물고기와 같다. 구제역 파동은 단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뿐이다.
증산 상제님께서 이미 한 세기 전 “하늘도 병들고 땅도 병들어 뜯어 고치지 않을 수 없다”(『道典』)고 진단하셨다. 그분 말씀대로 이미 병들어 있던 천지가 21세기에 들어와서 인간사회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다.
구제역이 돌고 있는 이시기에 100년 전 증산 상제님께서 병든 천지를 뜯어 고치기 위해 행하셨던 천지공사(天地公事)를 다시 생각해 본다. 우리 모두가 생명계를 치유하는 천지공사에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대전일보2010년 2월 17일자, 종교단상)
공유(greatcorea)
댓글 0개
| 엮인글 0개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진리가이드 | 130911 | 2010.01.07 16:05 | |
>> | 구제역과 천지병 | 알캥이 | 123428 | 2011.06.08 11:21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진리가이드 | 131454 | 2009.12.07 10:02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진리가이드 | 132823 | 2009.12.07 09:59 |
136.
'감염병'…인간과 박쥐 '잘못된 만남'이 부른 역습
2020.03.02,
조회 1538
[전염병위기]
'감염병'…인간과 박쥐 '잘못된 만남'이 부른 역습CBS노컷뉴스 2020-03-02 코로나19를 비롯해 최근 몇 년 사이 인류를 위협한 감염병 주요 숙주로 박쥐가 지목되고 있다.박쥐와 낙타의 만남으로 전해진 '메르스', 박쥐와 원숭이의 만남에서 비롯한 '에볼라', 박쥐와 돼지의 만남에서 기원한 '니파', 박쥐와 사향고양이의 만남으로 전해진 '사스'...
135.
‘온화한 살인자’…코로나19는 의학계가 두려워한 ‘질병X’
2020.02.24,
조회 1959
[전염병위기]
‘온화한 살인자’…코로나19는 의학계가 두려워한 ‘질병X’뉴스1 2020-02-24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전자현미경 촬영 사진 ©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 로키마운틴 실험실 (NIAID-RML)온화한 증세로 다가와 며칠만에 목숨을 앗아버리는 특징을 갖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의학계가 두려워하고 수년전부터 경고하던 ‘질병...
134.
인류는 바이러스 공격으로 절멸할까?
2020.02.23,
조회 1731
[전염병위기]
인류는 바이러스 공격으로 절멸할까?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입력 2020-02-2321세기 ‘지구촌’ 위협한 바이러스 총정리 코로나19, 사스, 메르스, 지카…● ‘지구촌’이 초래한 감염병 팬데믹 공포● 사스, 메르스는 ‘코로나19’ 사촌● 호시탐탐 인간 위협하는 조류인플루엔자● 치사율 90%에 달한 에볼라● 지구온난화와 지카바이러스의 미래최근 100여 년 사이...
133.
’설상가상’ 후베이성 인근서 치명적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상보)
2020.02.07,
조회 1867
[전염병위기]
’설상가상’ 후베이성 인근서 치명적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상보)뉴스1 2020.2.2 원본보기후난성 위치도. 바로 위에 후베이성이 있다 - 구글 갈무리(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하고 있는 후베이성 인근 지역에서 코로나바이러스보다 더욱 치명적인 조류인플루엔자(H5N1)가 발견됐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32.
신종 코로나 ‘변종’ 나왔다… 인간 간 전염서 변이 일으킨 듯
2020.02.07,
조회 1554
[전염병위기]
신종 코로나 ‘변종’ 나왔다… 인간 간 전염서 변이 일으킨 듯 국민일보 2020.02.04.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신종 코로나)의 변종이 발견됐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4일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가 인간 간 전염 과정에서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신종 코로나의 변종이 어떤 영향...
131.
'판데믹'으로 번져가는 신종 코로나…"지역 전파를 막아라
2020.02.07,
조회 1602
[전염병위기]
'판데믹'으로 번져가는 신종 코로나…"지역 전파를 막아라 2020.02.05 https://news.joins.com/article/23698787 이종구 교수는 “1960~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인류는 감염병에 대한 낙관론를 얘기했다”며“하지만 90년대 이후 새로운 감염병들이 등장하면서 인류를 다시 위협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130.
‘우한 의료진’ 추정 인사들의 충격적 대화…“응급실이 아니라 영안실”
2020.02.07,
조회 1364
[전염병위기]
‘우한 의료진’ 추정 인사들의 충격적 대화…“응급실이 아니라 영안실” (Feb 5,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kbFea8EUZ-o 현지 의료진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중국 정부의 부실대응을 맹렬히 비판하는 영상이 등장했다. 해외 활동 중인 중국 태생 인권운동가 제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