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 없으면 200살까지 산다 - 김창경
https://www.youtube.com/watch?v=hNRK0PXDjmU
✻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재수 없으면 200살까지 산다ㅣ김창경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교수ㅣ생명공학인생 강연 강의 듣기 | 세바시 830회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유전자는 인간의 생명을 탄생시키고 유지하는 근원입니다. 최근 크리스퍼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이 등장했는데요. 이는 생명체의 DNA를 잘라 교정하거나 교체하는 실험기법입니다. 불과 2년 전 만해도 전 세계를 통틀어 5개 그룹만 이용했으나 현재 분자생물학을 연구하는 실험실에서는 완전히 보편화 되었습니다. DNA 조작기술 중에서 제일 간편하고 정확한 크리스퍼 기술로 이제는 아인슈타인의 지능을 갖는 수퍼 베이비의 탄생이나 평균수명이 이백 살이 넘는 삶을 실현할 수도 있는데요. 유전자 편집 기술이 가져올 우리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공유(greatcorea)
댓글 0개
| 엮인글 0개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진리가이드 | 130868 | 2010.01.07 16:05 | |
구제역과 천지병 | 알캥이 | 123365 | 2011.06.08 11:21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진리가이드 | 131390 | 2009.12.07 10:02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진리가이드 | 132775 | 2009.12.07 09:59 |
44.
유발 하라리의 미래 예측···'인간해킹' 시대 다가온다
2020.02.04,
조회 1283
[생명과학혁명]
유발 하라리의 미래 예측···'인간해킹' 시대 다가온다이재철 2020.02.04 [한꺼풀 벗긴 글로벌 이슈-271] "전쟁터에 군인을 보낼 필요가 없다. 만약 당신이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면."지난달 21~24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다보스포럼)에서 이 인물은 청중의 관심을 사로잡았습니다.글로벌 베스트셀러인 '사...
43.
"남은 수명 알려주는 텔로미어, 다시 늘릴 수 있다"
2019.10.19,
조회 1483
[생명과학혁명]
"남은 수명 알려주는 텔로미어, 다시 늘릴 수 있다"연합뉴스 2019.10.19. 13:19 스페인 NCIO, 생쥐 실험 첫 성공..수명 13% 연장 확인생쥐 세포의 길어진 텔로미어(오른쪽)가 붉은 점처럼 핵(푸른색)에 퍼져 있다. [CNIO 제공]생쥐 세포의 길어진 텔로미어(오른쪽)가 붉은 점처럼 핵(푸른색)에 퍼져 있다. [CNIO 제공](서울...
42.
실명한 눈 대신할 '인공 망막' 성능 높였다
2019.10.11,
조회 1688
[생명과학혁명]
실명한 눈 대신할 '인공 망막' 성능 높였다파이넨셜 뉴스 2019.10.11 인공눈. 게티이미지 제공[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실험을 통해 상실된 시력을 인공적인 장치를 이용해 볼 수 있는 인공 망막 장치의 성능을 높였다. 시력을 잃은 사람들이 인공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있는 세상이 앞당겨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재수 없으면 200살까지 산다 - 김창경
2019.07.06,
조회 2765
[생명과학혁명]
https://www.youtube.com/watch?v=hNRK0PXDjmU✻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재수 없으면 200살까지 산다ㅣ김창경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교수ㅣ생명공학인생 강연 강의 듣기 | 세바시 830회강연자의 강연 소개 : 유전자는 인간의 생명을 탄생시키고 유지하는 근원입니다....
40.
"90세 넘어도 새로운 뇌세포 만들어진다"…치매연구에 도움될 듯
2019.03.27,
조회 1946
[생명과학혁명]
"90세 넘어도 새로운 뇌세포 만들어진다"…치매연구에 도움될 듯한국경제TV 2019-03-26 90세가 넘어도 뇌에서는 새로운 신경세포가 만들어지며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새로운 신경세포가 아주 적게 만들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스페인 마드리드 자치대학의 마리아 료렌스-마르틴 신경과학 교수 연구팀이 사망한 정상인과 치매 환자의 뇌 ...
39.
노벨상 日교수 "암, 2030년에는 사람 목숨 빼앗는 병 아닐 것"
2018.12.09,
조회 1998
[생명과학혁명]
노벨상 日교수 "암, 2030년에는 사람 목숨 빼앗는 병 아닐 것"연합뉴스 2018.12.09.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혼조 다스쿠(本庶佑·76) 교토(京都)대 특별교수가 "2030년에는 암이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병이 아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9일 NHK 등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혼조 교수는...
38.
故 스티븐 호킹 “유전자 편집해 우월해진 종(種) 초인류 출현한다”
2018.10.17,
조회 3101
[생명과학혁명]
故 스티븐 호킹 “유전자 편집해 우월해진 종(種) 초인류 출현한다”동아 2018-10-15 故 스티븐 호킹 저서 ‘거대 질문에 대한 간략한 답변’“초인류는 멸망하는 지구 탈출할 것…神은 없다”“동료보다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 자신의 DNA를 편집해 공격성과 같은 지능과 본능을 높이는 새로운 종(種), 이른바 초인류(superhuman)의 사람들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