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6522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8905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7734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39191 | 2009.12.07 09:59 |
832.
튀르키예 강진 사망 1만5000명…생존자는 '전염병 창궐' 위기 직면
2023.02.09,
조회 726
[지구기후변혁]
튀르키예 강진 사망 1만5000명…생존자는 '전염병 창궐' 위기 직면서울경제 2023-02-098일(현지시간) 튀르키예 남부 카흐라만마라슈시에서 지진 피해자들이 무너진 건물 잔해 옆에서 모닥불을 피워 몸을 녹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서울경제]튀르키예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 5000명을 넘어서며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다. 생존자들이 물과 연료...
831.
"北, 100만명 아사한 90년 대기근 이래 최악"
2023.01.20,
조회 785
[상씨름전쟁위기]
"北, 100만명 아사한 90년 대기근 이래 최악"38노스 "쌀 대체제인 옥수수 가격 급등…가계 식량난 심화 추정"헤럴드경제 2023-01-20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북한의 식량부족 사태가 100만명에 가까운 아사자를 낳은 1990년대 대기근 이래 최악이라는 진단이 나왔다.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는 19일(현지시간) 북한의 식량 가격과...
830.
지구 온난화로 북극 찬 공기 남하…"올해 더 추울 수도"
2023.01.03,
조회 826
[지구기후변혁]
지구 온난화로 북극 찬 공기 남하…"올해 더 추울 수도"뉴시스 2022.12.01.이례적 추위 우려…"12년만에 전국 한파경보"이번 겨울 평년과 비슷하거나 더 추울 듯지구온난화 영향으로 한파 길어질 가능성도북극해빙의 감소, 중위도 한파까지 영향[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전국 대부분 지역에 큰 폭으로 기온이 내려가면서 한파경보가 발효된 지난달 30일 오...
829.
북한, 초대형방사포 어제 3발 검수사격·오늘 1발 발사
2023.01.03,
조회 810
[상씨름전쟁위기]
북한, 초대형방사포 어제 3발 검수사격·오늘 1발 발사연합 2023.01.01(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은 2022년의 마지막 날과 2023년의 첫날에 각각 초대형방사포 3발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군수경제 총괄기관인 제2경제위원회는 지난해 12월 31일 오전 당 중앙에 증정하는 초대형방사포의 성능검열을 위한 검수사격을 진행했다고 조선중...
828.
영구적 위기 시대의 탄생
2023.01.03,
조회 707
[상씨름전쟁위기]
영구적 위기 시대의 탄생조선일보 2022.12.31.미국 워싱턴DC의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의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콜린스 영어사전이 2022년 올해의 단어로 ‘퍼머크라이시스(perma-crisis)’를 선정했다. ‘영구적(permanent)’이라는 말과 ‘위기(crisis)’를 합친 단어로서 안보 불안과 경제 불안정이 장기화된다는 뜻이다. 2차 대전...
827.
'좀비 바이러스' 4만8500년 만에 깨어나…감염력도 살아있다
2022.11.28,
조회 898
[전염병위기]
'좀비 바이러스' 4만8500년 만에 깨어나…감염력도 살아있다한겨레 2022-11-28동시베리아 영구동토층서…감염력 확인기후변화로 되살아나는 고대 바이러스숙주 동물 거쳐 팬데믹 발원지 될 수도4만8500년이 지난 후에도 감염력을 유지하고 있는 영구동토층의 바이러스는 달걀 모양의 판도라 바이러스(왼쪽)다. 오른쪽은 판도라 바이러스와 이보다는 작은 또 다른 거...
826.
우크라 전쟁 8개월, 바닥난 유럽 곳간…구직·주거·교육난 겪는 450만
2022.10.28,
조회 813
[상씨름전쟁위기]
우크라 전쟁 8개월, 바닥난 유럽 곳간…구직·주거·교육난 겪는 450만 난민경향신문 2022-10-27 유럽연합(EU)이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들을 받아들인 지 8개월이 지났지만 난민들은 여전히 유럽 사회에 정착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EU는 러시아의 침공 이후 지난 3월4일부터 우크라이나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