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3580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6084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4497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35955 | 2009.12.07 09:59 |
49.
미얀마서 규모 7.0 강진...아시아 대륙 '비상'
2011.03.25,
조회 6001
[지구기후변혁]
< 앵커멘트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공포가 채 가시기도 전에 이번엔 미얀마에서 규모 7.0의 강진이 두 차례나 발생해 전 세계적으로 지진 공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지진은 국경지대에서 발생해 대만과 중국 등지에서도 진동이 감지됐습니다. 임이재 앵컵니다.
< 리포트 >아시아 대륙의 움직임이 심상치가 않습니다.일본의 대지진으로 인한 공포가 채...
48.
후지산 주변 지진 1주일새 350회… 이번엔 ‘화산 폭발’ 공포
2011.03.25,
조회 7916
[지구기후변혁]
규모 9의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간토(關東), 규슈(九州) 등 일본 각지의 활화산 주변에서 지진 발생 횟수가 최대 수백 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신문은 화산 분화의 전조인 지각변동, 화산성 미동 등은 관측되지 않고 있지만, 거대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 화산이 폭발하는 사례가 있었다며 지진 발생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
47.
140년만의 최악 강진.쓰나미 日 강타
2011.03.11,
조회 6170
[지구기후변혁]
8명 사망 등 사상자 속출..항만 폐쇄, 교통.통신 두절10m 쓰나미 경고에 여진 잇따라 `공황상태'자동차.화학공장 등 피해..업계 긴급대책 분주금융시장도 `직격탄'..엔화.도쿄증시 급락(도쿄=연합뉴스) 김종현 이충원 특파원 = 11일 오후 2시 46분께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 부근 해저에서 규모 8.9의 강진이 발생했다.또 지진 이후 태평양 연안을 초대...
46.
뉴질랜드 강진 1931년 256명 사망 이후 80년만의 재앙
2011.02.25,
조회 7219
[지구기후변혁]
지진의 땅 뉴질랜드22일 크라이스트처치시에서 발생한 규모 6.3 강진(强震) 이전에도 뉴질랜드에서는 크고 작은 지진이 자주 발생했다. 이 중 대부분은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미약한 규모의 지진이다. 이웃나라 호주에서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뉴질랜드를 '흔들리는 섬(the Shaky Island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45.
2013년 예상되는 태양활동 극대기를 맞아
[2]
2011.02.19,
조회 10585
[지구기후변혁]
이서구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지난 2009년 '2012'라는 영화가 개봉되어 일반 시민들의 태양활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적이 있다. 영화는 급격한 태양활동으로 인해 방출된 뉴트리노(중성미자)가 지구 내부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인류가 대재앙을 맞게 된다는 줄거리다. 영화 줄거리의 과학적 사실과 관계없이, 다음 태양활동의 극대기...
44.
북반구의 절반을 뒤덮은 눈과 얼음…지금은 빙하시대
2011.02.07,
조회 5491
[지구기후변혁]
마치 오래 전 빙하시대의 모습을 나타낸 그래픽을 보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드는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의 사진이 공개돼 충격을 주고 있다고 영국 데일리 메일이 3일 보도했다.미국의 절반에 달하는 30개 주가 엄청난 눈폭풍으로 몸살을 앓던 이날 공개된 사진은 북반구의 절반에 달하는 지역이 눈과 얼음으로 뒤덮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이 사진은 NOAA가 많은...
43.
백두산은 과연 폭발하는가? 그리고 재앙은 도래하는가?
2011.02.01,
조회 7541
[지구기후변혁]
[쿠키 사회] 백두산은 과연 폭발하는가? 그리고 재앙은 도래하는가?학계에서 백두산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2011~2012년 중점연구과제로 '백두산 화산 폭발 대비 환경영향 평가'를 선정해 관심에 증폭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백두산 폭발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윤수 박사는 31일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백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