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개벽뉴스

기후와 환경이 세계사를 바꾼다

2010.01.07 | 조회 4332

"흑사병은 죽은자에겐 재앙이었지만

살아남은 자에게는 축복이었다." (맨큐)



인간은 역사를 만들어 간다. 역사는 사람들의 의식 변화나 정치 체제 또는 경제적 토대의 변화에 의해 변화의 동력을 얻는다.
하지만 이런 의식·정치·경제의 변화를 결정짓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변수가 있다.
바로 삶의 조건이 되는 기후와 환경이다.

중세가 종말을 고한 것은 표면적으론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이었지만, 그 이면에는 14세기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넘는 엄청난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간 페스트를 빼놓을 수 없다. 잉카,마야 등 아메리카 대륙의 문명이 멸망에 이르는데도 스페인 정복자의 칼보다 구대륙(유럽)에서 옮겨진 병원균이 몇십 배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유목민들의 대이동도 기후 변화가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기후와 환경이 세계사를 어떻게 바꿨는지 살펴보자.

⊙인간의 정주 생활이 전염병을 낳았다

인간의 정주(定住) 생활은 농업 혁명과 도시,문명을 탄생시켰지만 아울러 인류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터전이 됐다. 수렵채집 생활은 집단의 숫자가 적어 그 속에서 질병이 발생해도 구성원이 모두 죽으면 질병의 유행도 끝난다. 정주 생활을 위해선 우선 관개 시설이 필요하다, 물을 사용하면서 기생충에 의한 질병도 빠르게 확산되고,상·하수가 제대로 구분되지 않아 소화기 질환이 생기며,가축을 기르면서 가축으로부터 전염병이 옮겨지기도 한다.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죽인 전염병은 천연두인데,이 역시 정주 생활 속에 가축을 키우면서 생긴 질병이다.

실제로 인간은 가축의 질병에 대해 적응하면서 개와 65종,소와 55종,돼지와 42종의 질병을 공유하고 있다고 한다. 정주 생활은 도시화를 가져오고,이는 대량의 배설물 처리 문제를 낳는다. 문명이 앞선 고대 도시(인더스 문명의 모헨조다로,하라파,로마제국의 폼페이) 유적을 보면 제법 발달한 수세식 화장실이 발견되는 점도 이채롭다. 영국 프랑스 등 유럽에서 인도(人道)가 생겨난 것은 마찻길이 워낙 오물로 더럽혀졌기 때문이며,심지어 행인을 안아서 오물로 가득찬 길을 건네주는 직업도 있었다고 한다.

⊙전염병이 바꾼 역사

세계사에서 전염병에 의해 역사가 바뀐 대표적인 사례는 14세기 페스트에 의한 중세의 종말이다. 페스트는 11~12세기 유럽의 온난기와, 페스트 균의 거대한 배양기 역할을 한 도시의 급속한 발전이 가져온 대재앙이었다. 유럽 인구가 3분의 2로 급감하면서 농노를 잃은 봉건 영주들이 장원을 유지할 힘을 상실한 것이다. 잉카,마야,아즈텍 등 신대륙 문명이 정복자들의 수백 명에 불과한 군대에 의해 일거에 멸망한 것도 실상은 유럽인들이 가져온 천연두,홍역 등 전염병 때문이었다. 홍역균의 경우 50만명의 인구 집단이 있어야 생존하는 바이러스다.

⊙한랭·온난화에 따른 민족 대이동

유목민의 대이동은 세계 역사 흐름을 바꾼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예컨대 훈족의 서진(西進),몽골족의 남하가 대표적이다. 이 같은 이동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변수가 기후였다고 한다. 북방 초원에서 온난한 기후 속에 인구가 불어난 몽골족은 1200년께부터 한파가 밀려오자 살 길을 찾아 남하하기 시작했다. 몽골족이 1229년 카라코룸에서 호라즘의 수도 사마르칸트를 치기 위해 이동한 거리는 위도로 약 10도(800km)에 이른다. BC 3세기 중국 진시황 시절 흉노 등 북방 이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축조했다. 이민족들은 결국 북방 고원지대로 이동했는데,이는 만리장성도 원인이지만 기후가 점차 온난해져 북쪽에서도 새로운 터전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일랜드의 비극,감자 대기근

영국 식민지였던 아일랜드는 17세기 신대륙에서 감자가 유입돼 식량과 가축 사료를 해결했다. 하지만 1845년 한파와 함께 급작스레 닥친 '감자 대기근(Potato Famine)'은 아일랜드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꿔놓았다. 그 해 여름은 낮은 기온,잦은 안개,3주 동안의 비 등으로 감자 농사엔 최악의 환경이었고 설상가상 감자 페스트(마름병)까지 돌아 초토화됐다. 이후 10년간 줄잡아 200만명이 기아와 전염병으로 죽고,200만명 이상이 미국 등으로 이민을 떠났다. 19세기 중엽 850만명에 달했던 아일랜드 인구는 그 후 절반으로 줄었다. 영국은 크림 전쟁에 몰두하느라 이런 식민지의 대기근에 무관심으로 일관했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아일랜드인의 영국에 대한 반감은 한국인의 반일 감정보다도 훨씬 거세다.

오형규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ohk@hankyung.com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지구촌 개벽뉴스

rss
지구촌 개벽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사진 진리가이드 121109 2010.01.07 16:05
공지 구제역과 천지병 첨부파일 알캥이 113354 2011.06.08 11:21
공지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사진 진리가이드 121004 2009.12.07 10:02
공지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사진 진리가이드 122347 2009.12.07 0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