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개벽뉴스

열돔도 온난화 때문이었네.. 극지방 체력 약해져 더운공기 못 식혀

2021.07.23 | 조회 1179

열돔도 온난화 때문이었네.. 극지방 체력 약해져 더운공기 못 식혀


동아사이언스 2021. 07. 23 


숨막히는 한반도.. '열돔'이 뭐길래




올해 장마가 예년보다 일찍 끝이 나고 폭염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폭염의 원인으로 열돔 현상을 지목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올해 장마가 예년보다 일찍 끝나고 폭염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기상 전문가들은 올여름 서울은 39.6도, 강원 홍천은 41도까지 올라가며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한 2018년에 맞먹는 역대급 폭염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2018년과 올해 폭염의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열돔 현상’을 공통적으로 꼽는다.


○고기압 뚜껑에 뜨거운 공기 갇혀




열돔 현상은 뜨겁게 달궈진 공기 덩어리가 반구 형태의 지붕에 갇혀 계속해서 지표면 온도를 높이는 현상이다. 서울 구로구 고척스카이돔(고척돔)에 뜨거운 공기가 가득 차면서 운동장이 찜통이 됐다고 보면 된다. 태양빛을 받아 공기가 뜨겁게 달궈지면 더운 공기는 위쪽으로, 찬 공기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난다. 하지만 상승하던 뜨거운 공기가 고기압에 가로막혀 갇히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때 열돔 현상이 나타난다. 고기압이 뜨거운 공기를 가두는 돔 지붕 역할을 하는 셈이다.


현재까지 연구에 따르면 열돔 현상은 기상 현상이 일어나는 고도 5∼7km의 대류권 하층과 고도 10∼11km의 상층에 모두 고기압이 발생했을 때 나타난다. 고기압은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으로 무거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하강 기류가 발생한다. 고기압권 상층과 하층에 있는 공기가 내려오면서 압축효과가 생겨 기온이 올라간다. 순차적으로 비구름이 밀려나면서 햇빛이 지면에 더 많이 도달하고, 지면 공기는 더 뜨겁게 달궈진다. 이렇게 달궈진 더운 공기는 가벼워지면서 상층으로 올라가지만 고기압에 눌려 갇히게 된다. 기상학자들은 이런 이유로 열돔 현상의 원리를 압력밥솥에 빗대기도 한다.


○태풍 북상해야 열돔 사라질 것


최근 한 달간 미국과 캐나다 서부 지역은 낮 최고기온이 40∼50도에 이르는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이달 11일 미국 데스밸리 국립공원은 낮 최고기온이 56도까지 올라가는 기록적인 폭염이 발생하기도 했다. 기상학자들은 이 폭염의 원인도 열돔 현상으로 지목했다. 멕시코만에서 이동한 고기압과 서태평양고기압이 만나면서 사태를 악화시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한반도 지역의 찜통더위는 대류권 하층에 자리한 덥고 습한 북태평양고기압과 상층에 덥고 건조한 티베트고기압이 겹쳐지면서 발생한 열돔 현상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반도에 발생한 열돔 현상이 사라지려면 상층부에 자리한 고기압이 해소돼야 한다. 이명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폭염연구센터장은 “태풍 같은 열대성 저기압과 부딪혀야 한다”며 “태풍이 한반도로 올라오는 8월 초 전까지는 열돔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열돔 현상이 장기화하는 원인을 ‘블로킹 현상’에서 찾고 있다. 대류권 상층과 하층에 형성된 고기압을 계속해서 유지하며 대기 흐름이 정체되는 현상을 뜻하는 기상학 용어다. 블로킹 현상은 지구온난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자연 상태에서는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 열 교환이 이뤄지며 급속도로 뒤섞이고 공기 흐름도 빨라지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지구온난화에 따라 극지방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고위도인 극지방과 저위도 지역의 기온 차가 줄고 있다. 공기 순환이 상대적으로 덜 이뤄지면서 공기 흐름도 느려지는 것이다.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물살이 약해지면 모래가 쌓이는 것처럼 대기 흐름이 약해지면서 공기가 쌓이는 현상이 벌어진 것”이라고 했다. 여러 기상학자가 열돔 현상의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하는 이유다. 기상학자들은 지구온난화 이전에도 열돔 현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지만 그 강도는 별로 세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열돔 현상은 정식 기상학 용어 아냐


열돔 현상은 최근 신문과 방송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지만 정식 기상학 용어는 아니다. 정식 예보에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 박정민 기상청 통보관은 “관련 연구들이 많이 나와야 기상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인정받을 수 있고 예보에 사용될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열돔 현상의 발생 원인이나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대륙과 해양의 온도 차가 클수록 열돔 현상이 강해진다는 주장도 있지만 여전히 언제, 어디서, 나타나고 사라질지 예측불허다.



기상학자들은 열돔 현상 역시 점차 현실화하고 있는 기후위기의 한 사례라고 보고 연구 역량을 투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허 교수는 “기상학 연구 투자가 너무 적다 보니 열돔 현상을 연구할 연구자조차 국내에 없다”며 “국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다가올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했다.


이명인 센터장도 “열돔 현상에 따른 폭염은 국가가 예보부터 피해 복구까지 챙겨야 하는 법정재난에 해당한다”며 “폭염의 원인과 피해를 정리하는 연구가 없다면 현재 대응이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고 말했다.

고재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jawon1212@donga.com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지구촌 개벽뉴스

rss
지구촌 개벽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사진 진리가이드 129319 2010.01.07 16:05
공지 구제역과 천지병 첨부파일 알캥이 121783 2011.06.08 11:21
공지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사진 진리가이드 129765 2009.12.07 10:02
공지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사진 진리가이드 131122 2009.12.07 0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