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6520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8905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7727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39187 | 2009.12.07 09:59 |
12.
지구 생물종 대멸종 원인 소행성 충돌·화산 폭발만이 아니었다
2019.09.04,
조회 2160
[지구기후변혁]
지구 생물종 대멸종 원인 소행성 충돌·화산 폭발만이 아니었다연합뉴스 2019.09.04. 15:27 댓글 264개우주에서 본 지구 [EPA=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약 45억년에 달하는 지구 역사에는 생물 종이 한꺼번에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라지는 대멸종 사건은 여러 차례 있었다.화석을 통해 확인되는 이런 대멸종은 약 6천600만년 전 공룡...
11.
옐로스톤 지하에 거대 마그마…화산분화시 지구 대재앙
2015.04.27,
조회 5205
[현대문명대전환]
옐로스톤 지하에 거대 마그마…화산분화시 지구 대재앙연합뉴스 2015-04-25옐로스톤 지하에 거대 마그마…화산분화시 지구 대재앙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임화섭 특파원 = 미국 와이오밍 주에 있는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지하에서 그랜드캐니언 부피의 11.2배를 채울 수 있는 거대 마그마 저장소가 새로 발견됐다. 미국 유타대 지질학·지구물리학과와 캘리포니아공과대...
10.
백두산 화산 폭발 징후 포착...화산재, 韓 덮을 가능성 제기 '우려'
2015.04.13,
조회 8656
[지구기후변혁]
백두산 화산 폭발 징후 포착...화산재, 韓 덮을 가능성 제기 '우려'2015.04.13 09:34 [이데일리 e뉴스 박종민 기자] 백두산 화산 활성화 조짐에 학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산 폭발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도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최근 고려대기환경연구소가 백두산 화산 폭발을 가정한 실험을 한 결과 화산 폭발시...
9.
서울서 650㎞… 日열도 긴장시킨 세계 최대 '파국 화산(破局 火山·분화
2014.12.09,
조회 7686
[상씨름전쟁위기]
서울서 650㎞… 日열도 긴장시킨 세계 최대 '파국 화산(破局 火山·분화 에너지 큰 칼데라 화산)'2014-12-09 ['아소산' 분화 14일째… 규모 커지면 한반도까지 화산재 피해]아소산, 9만년前 폭발 당시 日 덮을 규모 화산재·마그마1707년 2만명 사상자 낸 후지산 때보다도 857배 많아분화량 현재 많진 않지만 남동풍 불면 한국도 영향권지난...
8.
日 88년 만의 최악 화산재해…2차폭발 오나?
2014.10.07,
조회 6299
[지구기후변혁]
日 88년 만의 최악 화산재해…2차폭발 오나? (2014-10-03 YTN)http://www.ytn.co.kr/_ln/0104_201410031417531187" 실제로 일본 사람들이 제일 지금 문제를 삼고 있는 것이 후지산입니다.후지산 같은 경우에는 이번에 온타케하고 비슷합니다.그런데 지구적 환경이, 4개의 판이 모여있는 그 중심에 후지산이 있...
7.
일본 온타케산 화산 폭발 ‘충격’ 후지산 분화 시나리오
2014.10.07,
조회 8653
[지구기후변혁]
일본 온타케산 화산 폭발 ‘충격’ 후지산 분화 시나리오수도권 대재앙… ‘그 이상의 지옥은 없다’[제1169호] 2014년10월06일 [일요신문] “하늘에서 갑자기 돌비가 쏟아지고 유황 냄새가 진동했다. 정말 지옥 같았다.” 일본 나가노현 온타케산이 지난달 27일 분화해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온타케산은 일본 화산 중 두 번째로 높으며, 편백나무...
6.
후지산 주변 지진 1주일새 350회… 이번엔 ‘화산 폭발’ 공포
2011.03.25,
조회 7996
[지구기후변혁]
규모 9의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간토(關東), 규슈(九州) 등 일본 각지의 활화산 주변에서 지진 발생 횟수가 최대 수백 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신문은 화산 분화의 전조인 지각변동, 화산성 미동 등은 관측되지 않고 있지만, 거대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 화산이 폭발하는 사례가 있었다며 지진 발생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