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7438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9797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8775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40244 | 2009.12.07 09:59 |
145.
지구 더 빨리 뜨거워진다…온난화, 기후모델 예측보다 두 배 심각
2018.07.11,
조회 3401
[지구기후변혁]
지구 더 빨리 뜨거워진다…온난화, 기후모델 예측보다 두 배 심각▲독일 베를린에서 ‘발전용 연료로 석탄 사용하는 것을 중단하라’는 구호의 시위에 참석한 시위대의 모습. (사진=AP/연합)[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 앞으로의 지구온난화가 현재의 기후모델이 예측한 것보다 두 배 더 심각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9일 과학전문 매체들에 ...
144.
소빙하기 이누이트는 적응 … 목축 고집한 바이킹은 소멸
2018.03.13,
조회 4986
[지구기후변혁]
소빙하기 이누이트는 적응 … 목축 고집한 바이킹은 소멸[중앙선데이] 입력 2018.03.04450년 가까이 그린란드에 살았던 바이킹은 소빙하기를 못 견뎌 15세기 초 소멸됐다. 그린란드 일루리삿 빙하,그린란드는 녹색땅이라는 그 이름과는 달리 대부분 빙하로 덮여 있다. 그러나 연안 지역 일부는 그 이름 그대로 목축이 가능한 녹색땅이다. 약 1000년 전 노르...
143.
대만 전문가 "규모 8.0 지진 발생 100년 사이클 진입"
2018.02.13,
조회 4912
[지구기후변혁]
1910년, 1920년 각각 8, 8.3 지진 발생필리핀해 판 유라시아판으로 파고 들어가며 지진 발생6일 밤 대만 동부 해안에서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해 2명이 사망하고 200여명이 부상했다. 사진은 지진으로 무너진 화롄 지역의 마샬 호텔. © AFP=뉴스1대만 지진 전문가가 최근 급증한 연쇄 지진을 가리켜 규모 8.0 이상의 강진 '100년 주기'에 ...
142.
지구 자기장 200년 간 15% 약화..N·S극 반전 임박?
2018.02.13,
조회 4963
[지구기후변혁]
서울신문 나우뉴스 2018.02.06지구의 자기장은 강력한 태양풍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준다.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뿐만 아니라 송전망 등 생활에 밀접한 곳에도 영향을 준다.그런데 이 자기장이 지난 200년 사이에 약 15%나 약해졌고 이는 지구 자극의 반전이 일어날 징후일 가능성이 있다고 일부 과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이 최...
141.
지구를 일시적으로 냉각 시켰던 1만2천년전 혜성의 정체
2018.02.13,
조회 4686
[지구기후변혁]
지구를 일시적으로 냉각 시켰던 1만2천년전 혜성의 정체최근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1만 2천년전 후기 구석기 시대에 발생했던 마지막 빙하기의 원인이, 혜성이 우리 지구를 강타하여 거대한 산불을 유발시켰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지질학적 진화에 관한 현대 이론에 따르면 주요 빙하기는 258만년전부터 시작되었고, 그 이후로도 몇차례의 빙하기를 경험...
140.
[윤석만의 인간혁명]6번째 대멸종, 핵보다 지구 위협하는 건
2017.10.28,
조회 5113
[지구기후변혁]
아버지와 함께 낯선 행성에 불시착한 10대 소년 키타이는 온갖 어려움을 뚫고 자신과 아버지를 구해낸다. 영화는 먼 미래에 오염이 심해 더이상은 살기 어려운 지구를 떠나 새로운 행성에서 살아가는 인류를 그렸다. [영화 애프터 어스]Danger is real, but fear is choice. 먼 미래, 우주비행사인 사이퍼와 그의 아들 키타이는 특수...
139.
'6번째 대멸종' 임계점, 2100년이 될까?
2017.09.21,
조회 4005
[지구기후변혁]
'6번째 대멸종' 임계점, 2100년이 될까?한겨레 2017-09-21[한겨레] 미 MIT 연구진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바닷속 추가 탄소량 310기가t이 임계점일수도”IPCC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로 보면 2100년중생대 트라이아스기 말에 있었던 제4차 대멸종으로 사라진 공룡 포스토수쿠스의 골격을 복원한 모습. 미국 텍사스공대 박물관에 전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