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비밀과 동지(冬至)
- 12.25 크리스마스는 서양冬至로서 태양신 미트라의 탄생일 종교와 철학(사상)과 역사는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세익스피어의 작품 『베니스의 상인』에 나오는 “살을 베되 피를 흘리지 말라”는 재판관의 말처럼 어불성설이다. 다시 말해 종교와 역사는 상호 관련지어 생각해봐야 진실로 전체 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크리스트교(西敎) 또한 예외일 수 없다.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유랑 민족으로 고달프게 살아온 유대민족과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역사를 깊이있게 들여다 볼 때, 유대족의 종교인 유대교가 낳은 크리스트교 교리가 형성된 역사적 배경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종교사상이 혼재한 메소포타미아 고대의 메소포타미아는 지금의 중동지역으로 동·서양 문명권이 상호 교류하면서도 빈번하게 충돌하는 지정학적 요충지였다. 한 민족국가가 몇 백년이나 1~2천년 지배하다가도 또 다른 신흥강국이 일어나 점령해버리는 사건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지역이었다. 이 지역을 지배했던 민족은 수메르, 구 바빌로니아, 앗시리아, 히타이트, 신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제국 등 수많은 이름으로 역사 속에서 존재했다가 사라져 갔다. 민족국가들 간의 전쟁으로 계속 정복민족이 바뀌는 역사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곳 메소포타미아 지방은 선조 아브라함 때부터 오랫동안 정착과 유랑생활을 반복하며 힘겨운 삶을 살아온 히브리민족의 3대종교(유대교, 크리스트교, 이슬람교)의 교리에 이 지역권에 속한 여러 민족의 종교 사상들이 뒤죽박죽 섞이고 혼합되는 신학적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 (▲ 미트라 신전의 부조(浮彫) 로마 농경신들 중에 가장 중요한 태양신이 가운데 있고, 그 주위에 서양 천문학에서 말하는 12궁도의 별자리가 새겨져 있다.) 메시아 사상의 출발점, 조로아스터교와 크리스트교 유대인들은 페르시아 왕을 메시아로 생각했다. 왜냐하면 그가 자기민족을 신 바빌로니아의 압제(BC 586~539년)에서 해방시켜 주었고, 바빌로니아제국에 의해 파괴된 예루살렘 신전까지 재건축하도록 재정지원을 해주었으며, 종교적 자유인으로 만들어주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대인의 메시아로 인식됐던 페르시아 왕이 신봉하던 종교가 바로 ‘조로아스터교’였고, 따라서 유대인들은 자연히 조로아스터교의 메시아 사상을 유대교 교리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실제 종교역사를 추적해보면, 조로아스터교는 동·서양의 메시아(구세주) 사상 ─ 즉 동양불교의 미륵사상과 크리스트교의 메시아 사상 ─ 이 다 녹아 있었던, 세계문명의 고향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메시아 사상의 출발점이었던 것이다. 조로아스터교에는, 창시자 조로아스터가 죽은 후 3천년이 지나면, 최후 심판기가 오고, 그때 모든 인간은 부활하며, 용해된 금속(가을 金기운)으로 심판이 행해진 후, 영생복락의 메시아 세상이 온다는 사상이 있다. 종교 예언자 조로아스터 사후 3천년 후에 유일신이 지상에 강림해서 지상천국을 건설한다는 조로아스터교의 ‘유일신 사상’은 바빌로니아 멸망 이후에 유대교 교리로, 다시 유대교에서 크리스트교로, 인도북부까지 점령했던 페르시아 제국에 의해 힌두교의 마에트라(마이트레이야) 신앙과 연결되고, 다시 미륵 대승불교의 미래 부처로 변하여 동·서양 구세주 사상으로 역사적 변천을 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이다. 『마태복음』에 보면, 아기예수 탄생 당시에 동방박사 3인이 오게 되는데, 그들은 바로 조로아스터교의 제사장이다(이 점은 역사학자마다 조금 견해가 다른 듯해도 크게 보면 같다. 왜냐하면 역사가마다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마기교, 미트라교 등으로 서술하는데, 이 종교들이 모두 다 조로아스터교 계열이기 때문이다). ◀◀ 태양신의 상징인 미트라 관을 쓰고 있는 예수의 초상(초기 크리스트교 시대)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쓰고 있는 미트라 관 세월에 따라 형태는 조금씩 바뀌었지만 위로 길게 뻗은 교황의 관은 모두 미트라 관이다. 태양신 미트라신의 탄생일을 예수 탄생일로 정하다 해마다 12월 25일이 되면, 세계적 축제로 열리는 크리스마스는 정말 예수가 이 세상에 태어난 날일까? 이에 대해서는 KBS-TV의 <스펀지〉 프로그램에 신학교 교수(장세훈)가 출연하여 역사적 진실을 증언한 바 있다. 결론은 12월 25일이 예수 탄생일이 아니고 원래 미트라신의 탄생일이라는 것. 로마에서 3~4세기에 국교가 된 크리스트교(서방 카톨릭교회)에 아직도 미트라교 풍습이 남아 있는데, 로마 교황이 대관식 때 쓰는 관을 ‘미트라’라고 한다. 초기 크리스트교는 로마 전지역의 복음화를 위해 예수를 태양신의 상징으로 신격화하여, 이 과정에서 태양신인 미트라신의 생일 12월 25일을 예수의 생일(크리스마스)로 정하여 기념하게 되었다(서방 카톨릭은 354년, 동방정교는 379년부터). 미트라신을 군인의 신[軍神], 태양신, 계약의 신이라고 한 것은 조로아스터교와 로마문화, 유대문화의 특색이 골고루 나타난 때문이다. 로마는 군인의 통치 제국이고, 미트라교의 뿌리인 조로아스터교는 빛의 신(빛은 태양을 상징)이며 유일신인 ‘아후라 마즈다’를 숭배하며, 유대종교의 계약 사상이 크리스트교를 통해 로마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미트라교의 제의(祭儀)에 황소(농경문명의 절대요소)를 제물로 바치는 걸로 보아 농경신앙과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다. 당시의 동굴 유적에는 미트라가 황소를 죽이는 그림이 많이 나타나 있다. 또한 로마제국에서 국가적 축제로 행했던 농신제(農神祭; 농경신앙의 제의)중에 미트라신을 섬기는 절기로 12월 25일을 정하고 있었다. 이 12월 25일이 로마달력으로는 서양의 동지절에 해당된다. 미트라교의 기원은 동방 신교문화 어느 해 동짓날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동지가 후천 설이니라.” 하시니라. (道典 2:138:5) 1년 24절기 중에 낮이 짧아지다가 다시 길어지기 시작한다는 동지(冬至)를 동방의 우주철학인 역학(易學)에서는 ‘일양시생(一陽始生; 양이 생겨나기 시작한다)’이라고 풀이한다. 즉 햇빛이 새로 강해지기 시작하는 동지절을 태양신이 새롭게 기운을 얻어 소생하는 걸로 보아, 동짓날을 태양신 미트라의 생일로 삼은 것이다. 로마-페르시아 문명시대 때부터 출발한, ‘빛은 동방으로부터’라는 유명한 역사인식도 이집트-메소포타미아 문명권 제국(諸國)의 오랜 태양신 숭배 신앙에서 출발했다. 세계 모든 종교에서 구도자들이 한결같이 ‘빛’을 거룩한 신성(神聖)과 진리의 표상으로 삼은 것도 절대자와 메시아에 대한 간절한 염원의 표출일 것이다. <참고문헌>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마야자키 마사카츠, 중앙M&B, 2000) 『고교 세계사』(오금성 외, 금성출판사, 2003) 『세계 종교 둘러보기』(오강남, 현암사, 2003) 『세계문화사』(나종일 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공유(greatcorea)
댓글 0개
| 엮인글 0개
개벽문화 칼럼
>>
크리스마스 비밀과 동지(冬至)
2010.12.25,
조회 3588
- 12.25 크리스마스는 서양冬至로서 태양신 미트라의 탄생일 종교와 철학(사상)과 역사는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세익스피어의 작품 『베니스의 상인』에 나오는 “살을 베되 피를 흘리지 말라”는 재판관의 말처럼 어불성설이다. 다시 말해 종교와 역사는 상호 관련지어 생각해봐야 진실로 전체 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14.
相生과 共生
2010.12.17,
조회 2492
요즘 상생(相生)이란 말이 남용되고 있다. 원래 "나무(木)는 불(火)을, 불은 흙(土)을, 흙은 쇠(金)를, 쇠는 물(水)을 생(生)한다"는 오행설(五行說)의 개념인데 언제부터인가 슬그머니 "서로 돕고 산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서로'라는 훈을 너무 곧이곧대로 받아들여 오히려 본뜻을 곡해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언어란 본래 법칙보다 쓰임이 더 무서운...
13.
'설마'와 '하인리히법칙'
2010.12.03,
조회 2946
"설마가 사람잡는다"는 말이 있다. 그럴 리 있겠느냐고 마음을 놓거나 요행을 바라는 데에서 탈이 난다는 뜻으로, 있을 수 있는 모든 것을 미리 예방해두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 속담을 보다 이론적(?)으로 증명한 법칙으로 하인리히 법칙을 들 수 있다. [1 대 29 대 300 법칙]으로 널리 알려진 이 법칙은, 1930년대 초 미국 한 보험회사의 관리ㆍ감...
12.
정전 상태 일깨운 북한의 공격
2010.11.29,
조회 2753
경제적 성취에 가린 안보 불감증 평화 지켜낼 대북전략 마련하길 이것은 전쟁이다. 연평도에 대한 북한의 공격은 한반도가 전쟁의 포성이 잠시 멈춰 있는 정전상태라는 사실을 일깨워 줬다. 북한이 무슨 의도로 자행했든,이번 공격이 한국의 국내정치와 동북아의 국제질서에 어떤 파장과 의미를 던져주든 이 사건이 전쟁을 의미한다는 사실이 바뀌진 않는다.
1...
11.
큰 나라’ 백제와 고대 일본
2010.11.12,
조회 4065
김철수(연구원) / 상생문화연구소
1. 미야자키현의 ‘백제의 마을’을 찾아
지난 5월 말, 일본 큐슈(九州) 땅 깊숙이 숨어있는 ‘백제의 마을’을 찾아가기 위해 험한 산길을 달렸다. 큐슈 땅에서 옛 ‘가야’의 흔적을 찾기는 쉽지만, ‘백제’의 흔적을 만나는 건 흔치 않는 일이다. 일본열도에는 ‘백제’와 관련된 명칭을 가진 지역들이 있다. 그러나 그...
10.
한류의 미래
2010.10.28,
조회 2389
필자가 홍콩, 대만 등 아시아 국가에 근무할 때 인상 깊었던 것은 한국 연예인, 문화에 대한 이들의 열광적인 사랑이었다. 주말 내내 한국 드라마를 섭렵하거나 드라마 촬영장소를 찾아 직접 한국 방문에 나서는 젊은이들도 있었다. 필자가 한국에 온 뒤에는 가수 비를 만날 기회가 있는지 물어오는 대만의 동료들도 많아 말로만 듣던 '한류 열풍'을 실감했다.
세계...
9.
우리 몸의 감각이 곧 진실은 아니다.
2010.10.25,
조회 2773
우리가 어떤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은우리 몸의 감각기관이 사물을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 맡고 만질 수 있는데 근거하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우리가 우리 몸을 엄연한 물체 덩어리로 받아들이는 것은 그것을 보고 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렇지만 몸이라는 것이 감각이 지각하는 것처럼 물질로 꽉 차 있는 것이 사실일까요?
사람 몸의 약 70% 가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