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100일]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경제충격

2020.04.10 | 조회 354

[코로나19 100일]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경제충격

연합뉴스 2020-04-09 


주가 폭락하고 실업은 확산…전례없는 정책 대응에도 힘 잃은 V자 회복론

기사 이미지2020년 3월 31일 미국 1달러짜리 지폐의 조지 워싱턴 초상에 마스크가 씌워진 모습. [로이터=연합뉴스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 여파가 전염병 자체의 공포 못지않게 세계 각국에 미증유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빠르게 코로나19가 확산하자 주요국은 이를 억제하기 위해 사실상 대부분의 경제 활동을 멈추게 하는 '셧다운'(shutdown·폐쇄) 등 조치에 나섰다.

'세계의 공장'으로도 불리는 중국에서 최초 발병이 확인된 뒤 이동제한 지침이 내려지고 줄줄이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삐걱거리더니 이제는 미국과 유럽도 그에 못지않게 경제가 멈췄다.

기사 이미지2020년 4월 8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의 둥펑 혼다 공장에서 직원들이 차량을 조립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자료사진]





◇ 블랙먼데이 이후 최악 증시 낙폭에 실업 대란 파고도

지난 3월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보다 2,997.10포인트(12.93%) 하락한 20,188.52에 거래를 마쳤다. 22.6%의 낙폭을 기록한 1987년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 낙폭이었다.

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324.89포인트(11.98%) 내린 2,386.1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70.28포인트(12.32%) 떨어진 6,904.59에 각각 마감했다.

뉴욕증시의 급락세는 이날 하루만이 아니었다.

12일에도 뉴욕의 주요 지수는 10% 안팎 하락했다.

유럽과 아시아 증시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각국의 이동 제한 등 조치가 잇따르자 시장이 코로나19발 경제 충격을 반영한 것이다.

코로나19는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실물경기에도 바로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생산과 소비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실업자들이 대량으로 쏟아졌다.

기사 이미지2020년 4월 8일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 갭밀스 지역 푸드뱅크 인근 도로에 식료품을 받으려는 주민들의 차량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AP=연합뉴스자료사진]





예컨대 미국의 경우 3월 셋째 주와 넷째 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각각 330만건과 665만건으로 2주 연속 신기록을 경신했다.

종전 최대치는 오일쇼크 당시인 지난 1982년의 69만5천건인 점에 비춰보면 충격의 강도가 어마어마한 셈이다.

항공, 관광 등 업종에서는 기업들의 현금 흐름이 끊기자 연쇄 부도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기사 이미지2019년 12월 11일 사우디아라비아 담맘 인근 라스 알 카이르 항을 바라보는 현지인 남성들. [AFP=연합뉴스자료사진]



미국에 앞서 코로나19를 겪은 중국도 비슷한 충격을 겪었다.

문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을 지난 것으로 평가받는 중국조차 아직 경제의 정상화를 말하기는 요원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실제로 중국은 최초 진원지인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 대한 봉쇄를 8일 해제할 정도로 코로나19 확산 억제에 성과를 냈지만 무역 대상국들이 셧다운에 들어간 데다 아직 내수 심리도 회복되지 않아 각종 경제 지표가 여전히 최악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노무라 증권의 루팅(陸挺)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財新) 기고문에서 중국의 2분기 수출이 35∼45% 줄어 이 영향으로 1천800만명이 실직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결국 미국이나 유럽의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둔화하더라도 백신이 개발되기 전에는 경제 활동이 조기 정상화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평가다.



◇ 각국 정부 유례 없는 대응…양적완화에 개인 현금 지급도

충격이 큰 만큼 각국 정부의 대응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강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지난달 16일 종전 1.00%~1.25%인 기준금리를 0.00%~0.25%로 내려 금융위기 때와 같은 '제로 금리'를 채택한 데 이어 같은달 24일에는 사실상 '무제한 양적완화'(QE)에 들어갔다.

보수적인 한국은행도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75%로 기준금리를 내리고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통해 무제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이른바 '한국형 양적완화(QE)' 정책을 내놓는 등 각국 통화당국도 비상한 대응책을 줄줄이 내놨다.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정책도 천문학적인 규모로 이뤄졌다.

미국의 경우 2조2천억 달러(약 2천70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을 도입했고 이탈리아는 4천억 유로(약 528조원) 규모의 기업 유동성 지원책을 마련했으며 일본은 총 108조엔(약 1천200조원) 규모의 긴급경제대책을 추진 중이다.

미국의 경기부양 패키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두 차례에 걸쳐 통과된 경기부양 액수를 합친 것보다 많은 사상 최대 규모이고 일본도 금융위기에 대응해 2009년 발표한 경제대책(56조8천억엔)의 약 2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특히 각국은 실직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개인들에게 직접 현금을 나눠주는 정책을 도입했다.

예컨대 미국은 연소득 7만5천달러(약 9천200만원) 이하의 미국인에게 1천200달러(약 147만원)짜리 수표를 보내줄 예정인데, 미국인의 90%가량이 혜택을 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기사 이미지2020년 3월 30일 미국 뉴욕 맨해튼의 센트럴파크 인근 벤치에 앉은 한 보건의료 노동자가 몸을 웅크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자료사진]



◇ 가늠하기 힘든 경제 충격…점차 힘 잃어가는 V자 회복론

그러나 세계 경제가 언제쯤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상황을 되찾을지 아직 속단하기는 어렵다.

코로나19의 확산 범위 등에 따라 경제 충격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만 손실액이 엄청날 것이라는 점은 불문가지다.

예를 들어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이달 3일 발표한 '2020년 아시아 역내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경제 손실 규모를 2조∼4조1천억 달러(2천400조∼5천조원)로 제시했다.

이는 전세계 연간 GDP의 2.3∼4.8%에 해당하는 규모다.

9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시티은행의 캐서린 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사태로 세계 경제가 5조 달러(약 6천조원) 안팎의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진단했다.

JP모건체이스는 올해 피해 규모를 5조5천억 달러(약 6천700조원)로 추산했다.

경제 전망도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별로 제시되는 상황이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코로나19에 따른 각국의 봉쇄 정책이 6∼12주간 지속되는 경우 올해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는 -2.8%가 되지만 봉쇄 정책이 3분기까지 이어지면 -8%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세에 접어든 이후의 경제 전망도 그다지 밝지 않다.

실제로 이번 사태가 진정되면 경제가 빠르게 반등하는 V자형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점차 힘을 잃어가고 있다.

벤 버냉키 전 미 연준 의장도 최근 브루킹스연구소 화상 토론에서 "(코로나19) 위기가 다시 시작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실한 자신감이 생기기 전까지는 경제가 정상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을 것 같다"면서 'V자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선을 그었다.

그는 "경기반등이 빠를 것으로 보지 않는다"면서 "아마도 경제활동 재개는 꽤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고, 경제활동은 상당기간 낮은 수준에 머물 수 있다"고 말했다.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