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단과 복도에 길게 늘어져 있는 검은 소방호스와 원자로 수위계 옆에 깨알 같이 쓰인 냉각수 수위 기록, 책상 위에 놓여 있는 핫라인 전화기…." 전 세계를 놀라게 했던 2011년 3월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의 '최전선'이던 1, 2호기 중앙제어실이 한국을 비롯한 해외 언론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사고 3년 후, 분홍색 시트로 가려지고 내부는 깔끔히 정돈됐지만, 당시 사투의 흔적을 다 가릴 수는 없었습니다. 운전원들은 이곳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높은 방사선량과 대폭발의 위협 속에서 전원 상실과 노심 용융(멜트 다운)에 필사적으로 맞섰습니다. 따사로운 햇살이 비치던 어제(10일) 오후 1시. 취재단을 실은 버스가 제1, 2호기 건물 옆에 멈추자 방사선량은 시간당 40마이크로시버트를 기록했고, 1호기 앞으로 50m쯤 걸어가자 시간당 80마이크로시버스트로 치솟았습니다. 취재단은 바다 쪽 입구에서 중앙제어실 건물에 들어갔습니다. 10m 높이의 쓰나미가 강타한 서비스실을 거쳐 2층 제어실로 향했습니다. 좁은 계단과 통로, 복도에는 사고 당시 사용된 여러 개의 검은 소방호스 등이 길게 늘어져 있었습니다. 이어진 2층 복도에는 역설적이게도 GE로부터 1982년부터 1997년까지 받은 우수 발전소 표창장이 아직 걸려 있었습니다. 중앙제어실은 2층 안쪽에 있었습니다. 중앙 제어실은 24시간 원자로 및 터빈 등의 운전을 감시하는 원전의 심장부인데 1, 2호기 중앙제어실은 1, 2호기의 터빈 건물 사이에 위치, 두 원자로와 터빈을 제어했습니다. 보통 건물과 달리 중앙제어실에는 창문 같은 게 전혀 없었습니다. 사고 당시 떨어져 나간 천장 패널은 분리돼 보이지 않았고, 바닥은 아직도 방사성 물질로 오염돼 있어 분홍색 시트로 덮혀 있었습니다. 사고 당시 사용한 화이트 보드나 흩어진 메모 등은 모두 정리돼 볼 수 없었고,핫라인 전화기만 책상 위에 덩그러니 놓여 있었습니다. 1호기 제어실의 원자로 수위계 옆에는 시간에 따른 냉각수 수위가 연필로 기록돼 있었습니다. '16시50분 마이너스 50cm' '16시 55분 마이너스 130cm'….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자로 냉각수의 수위가 조금씩 줄어든 상황이 기록돼 있었습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 측은 잠시 실제 조명을 모두 끄고 전원을 완전히 상실하는 '스테이션 블랙 아웃(SBO)'의 상황을 재연했습니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2011년 3월11일 오후 2시46분, 미야기(宮城)현 동남동 130km의 깊이 24km 지점에서 규모 9.0의 대지진이 발생한 뒤 오후 3시27분 쓰나미 제1파에 이어 오후 3시37분 쓰나미 제2파가 원전을 강타했습니다 터빈 건물 지하의 비상 디젤 발전기를 포함해 전원이 완전 침수됐고, 후쿠시마 제1원전은 스테이션 블랙 아웃이 됐습니다. 제어반의 표시등도 일제히 사라졌습니다. 당시 중앙제어실에는 24명이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일부 운전원은 사고 직후 손전등을 사용해 직경 30cm 정도로 제어반을 비추면서 연필로 시간과 냉각수 수위를 적었습니다. 운전원들은 또 모아온 자동차 배터리를 제어반에 연결해 원자로 수위계 등을 복구시켰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사투'의 와중에 이미 1호기 원자로에서는 노심 용융(멜트 다운)이 한창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3월12일 오전 2∼3시 중앙제어실의 방사선량은 시간당 1000마이크로시버트까지 치솟았습니다. 직원들은 전면 마스크와 보호복을 착용하고 1호기 격납용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증기를 방출하는 벤트작업을 벌이는 등 멜트다운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습니다. 공기탱크를 지고 2명씩 원자로 건물로 돌입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3월12일 오후 3시36분 1호기 원자로에서 마침내 수소폭발이 일어났습니다. 거대한 방사능 사고의 시작이었습니다. 사고의 여파로 중앙제어실 천장 패널이 떨어져 나갔고 사고 5일 후에는 운전원 전원이 중앙제어실에서 대피하고, 일부만이 교대로 데이터 모니터링을 했습니다. 도쿄전력 관계자는 당시 운전원의 감정을 묻는 질문에 "그들도 매우 놀랐을 것"이라면서 "절망 속에서 피폭하면서도 필사적으로 냉각을 위해 최선을 다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초기 방사능 유출로 피폭된 최초 운전원 10명은 이후 치료 등을 이유로 모두 퇴직한 상태입니다. 현재 1, 2호기 중앙제어실에는 운전원이 상주하지 않고 350미터쯤 떨어진 면진중요동에서 원격으로 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다시 복도와 통로, 계단을 통해 1, 2호기 중앙제어실을 빠져나오자, 태평양이 하늘이 내려앉은 듯 푸르고도 투명하게 펼쳐져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최전선'…첫 공개된 재앙의 현장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최전선'…첫 공개된 재앙의 현장







공유(greatcorea)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9184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31395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40722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42282 | 2009.12.07 09:59 |
224.
한달째 꺼지지 않는 러시아 시베리아 산불. 벌써 강원도만한 소중한 숲을
2021.07.31,
조회 1272
[지구기후변혁]
한달째 꺼지지 않는 러시아 시베리아 산불. 벌써 강원도만한 소중한 숲을 태워먹었다 https://youtu.be/afxmWpJeGJE
223.
브라질 65년만의 폭설과 강추위. 지구가 이상해졌어요. 종말이라도 온 건
2021.07.31,
조회 1419
[지구기후변혁]
브라질 65년만의 폭설과 강추위. 지구가 이상해졌어요. 종말이라도 온 건가요? 2021. 7. 31 https://youtu.be/Hzs1WGUoqz0
222.
북미 대형 산불이 북극 얼음 녹인다
2021.07.26,
조회 1446
[지구기후변혁]
북미 대형 산불이 북극 얼음 녹인다뉴시스 2021. 07. 26. [서울=뉴시스] 북아메리카 대형 산불이 그린란드에 미치는 영향 모식도.[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최근 이상고온 현상으로 미국 등 중위도권의 대형 산불이 북극에 2차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산불의 부산물들이 눈이나 얼음 위에 쌓였을 때, 표면의 반사도를 낮추고 ...
221.
열돔도 온난화 때문이었네.. 극지방 체력 약해져 더운공기 못 식혀
2021.07.23,
조회 1548
[지구기후변혁]
열돔도 온난화 때문이었네.. 극지방 체력 약해져 더운공기 못 식혀동아사이언스 2021. 07. 23 숨막히는 한반도.. '열돔'이 뭐길래올해 장마가 예년보다 일찍 끝이 나고 폭염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폭염의 원인으로 열돔 현상을 지목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올해 장마가 예년보다 일찍 끝나고 폭염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기상 전문가들은...
220.
북극엔 번개·美 서부에는 거대 화재雲… 기후변화의 역습
2021.07.18,
조회 1442
[지구기후변혁]
북극엔 번개·美 서부에는 거대 화재雲… 기후변화의 역습세계일보 2021.07.18 지구촌 곳곳 기상 이변 신음북극 사흘째 번개 … 첫날 1613번에 달해얼음 녹고 수증기 상승 … 번개 점점 잦아져번개로 시베리아·알래스카 화재 큰 피해극심한 가뭄 탓 美서부 대형 산불 이어져최악의 경우 ‘불소용돌이’로 변모하기도서유럽 홍수로 獨 156명 등 183명 ...
219.
독일서만 1300명 연락두절‧실종, '100년만의 홍수 대참사’
2021.07.16,
조회 1265
[지구기후변혁]
독일서만 1300명 연락두절‧실종, '100년만의 홍수 대참사’ 2021. 7. 16. https://youtu.be/1Y5btUHPCo4 15일(현지시간) 서유럽 폭우로 독일에서 홍수가 발생하면서 독일·벨기에에서 적어도 7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십명이 실종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라인강 범람으로 시작한 홍수 피해는 프랑스에...
218.
기후 변화, 경고가 능사는 아니다
2021.07.04,
조회 1339
[지구기후변혁]
기후 변화, 경고가 능사는 아니다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중앙선데이] 2021.07.03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지구를 위한다는 착각마이클 셸런버거 지음노정태 옮김부키 “생태계 전체가 붕괴하고 있고 우리는 대량 멸종의 시작 지점에 있다.” 스웨덴의 10대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2019년 유엔 기후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