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라면 대재앙"…세계 바닷가 주민 수억명 '대이동' 우려 나온 이유
"이대로라면 대재앙"…세계 바닷가 주민 수억명 '대이동' 우려 나온 이유
조선일보 2025-05-21
그린란드 누크 인근 섬에 빙하가 떠 있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파리기후협약 목표를 달성해도 전 세계 해안 주민 2억여 명이 삶의 터전을 잃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억제해도 극지방 빙상 손실과 해수면 급상승을 막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크리스 스토크스 영국 더럼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21일 과학 저널 ‘커뮤니케이션스 지구&환경(Communications Earth&Environment)’에서 온난화로 인한 과거·현재·미래의 빙상 손실과 해수면 상승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 기온이 1.5℃ 상승할 경우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 손실이 빨라져 수 세기에 걸쳐 해수면이 수m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피하려면 온난화 억제 목표가 1.5℃보다 1℃에 가까워야 한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스토크스 교수는 “1.5℃는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에 너무 높은 온도라는 증거가 늘고 있다”며 “어느 정도의 해수면 상승은 불가피하지만 최근 빙상 손실 속도는 현재 기후 조건에서도 매우 우려스러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지구 기온 1.5℃ 상승이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과거 온난화 시기 증거들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으로 향후 변화를 예측했다.
과거 온난화 시기 분석 결과, 기온 상승이 크고 지속 기간이 길수록 해수면이 더 많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에는 전 세계 해수면을 약 65m 상승시킬 수 있는 얼음이 저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빙상에서 손실되는 얼음 양은 1990년 이후 4배 증가했고, 산업화 이전 대비 1.2℃ 상승한 기온 수준에서 연간 3700억t의 얼음이 사라지고 있다.
지구 기온이 1.5℃ 상승하면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이 따뜻해진 대기와 해양 온도에 반응해 녹는 속도가 더 빨라지고, 해수면 상승 폭은 수십 년~수 세기에 걸쳐 수m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해수면 상승은 해안 및 섬 주민에게 큰 피해를 일으키고 수억 명의 이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정책 입안자들과 각국 정부가 1.5℃ 상승이 극지 빙상과 해수면에 미칠 영향을 잘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해수면에서 1m 이내에 사는 세계 2억3000만명이 실존적 위협을 받는 상황을 피하려면 기온 상승이 산업화 이전 대비 1℃ 또는 그 이하여야 한다고 분석했다.
스토크스 교수는 “1990년대 초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약 1℃ 높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350ppm 정도였는데 현재는 424ppm에서 계속 높아지고 있다”며 “지구에 안전한 온도 상승 한계치는 1℃ 정도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요점은 1.5℃ 상승으로 모든 게 끝난다는 게 아니라 기온 상승을 빨리 멈출수록 향후 안전한 수준으로 돌아가는 게 쉬워진다는 의미”라며 “해수면 급상승을 피할 ‘안전한’ 온도 목표를 정밀하게 결정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8589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30845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40089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41617 | 2009.12.07 09: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