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시리아 내전…민간인 745명 학살 의혹
끝나지 않은 시리아 내전…민간인 745명 학살 의혹
동아일보 2025-03-10 03:21
과도정부군-親아사드파 무력 충돌
축출된 아사드 고향 무차별 공격
외신 “민간인까지 즉결처형 정황”
알 샤라 임시대통령 도덕성 타격
시리아 서부에서 과도정부군과 지난해 말 권좌에서 축출된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을 지지하는 ‘친아사드 무장 세력’이 충돌해 1000명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이슬람 수니파 이념을 추종하는 시리아 과도정부군이 종파가 다른 민간인 700여 명을 친아사드 무장 세력의 전투요원과 구분하지 않고 살해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시리아 과도정부는 지난해 12월 13년에 걸친 시리아 내전을 종식시키고 실권을 쥔 뒤로 △여성 인권 개선 △종파에 따른 차별 지양 △서방과의 협력 △아사드 정권 시절 제조된 화학무기 폐기 등을 강조하며 정상 국가를 지향하는 행보를 보여 왔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시리아에서 종파 갈등 문제가 다시 부각되고, 대규모 무력 충돌이 계속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사망자 대부분 민간인
8일 영국 BBC방송 등에 따르면 시리아 분쟁 감시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SOHR)는 6일부터 이날까지 시리아 서부 거점 라타키아주(州)에서 과도정부와 아사드 지지 세력 간 대규모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총 1018명이 숨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민간인은 745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부군 126명, 친아사드 무장 세력 148명이 숨졌다.
이번 무력 충돌은 이슬람 알라위파(시아파의 분파)인 친아사드 무장 세력이 6일 과도정부군이 운영하는 검문소 등을 공격하면서 발생했다. 이로 인해 군인 16명이 희생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과도정부군이 강경 대응을 하는 과정에서 전투요원과 민간인을 구분하지 않고 공격했다고 SOHR은 설명했다. 이번 유혈 사태가 벌어진 라타키아주는 지난해 축출된 아사드 대통령의 고향 도시 카르다하가 있는 곳이다. 또 아사드 정권의 핵심 기반이었던 알라위파의 근거지이기도 하다.
영국 가디언은 “과도정부군이 해당 지역 내 거주 중인 민간인도 아사드 지지 세력을 지원했다는 이유 등을 들어 즉결 처형한 정황이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과도정부 관계자는 국영 사나통신을 통해 “일부 군인들의 개인적인 일탈로 문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18시리아내전.jpg
시리아는 수니파가 다수인 가운데 알라위파는 시리아 전체 인구 중 10%를 차지한다. 아사드 정권에선 소수인 알라위파 인사들이 정부 핵심 요인들을 차지해 종파 간 갈등이 계속됐었다. 과도정부의 중심인 수니파 반군 무장단체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이 지난해 12월 시리아 내전을 끝내고 아사드 정권을 축출한 뒤 알라위파를 향한 보복전을 치를 것이라는 우려도 계속 제기됐다.
● 정상 국가 행보 보였으나 도덕성 타격
아흐마드 알 샤라 과도정부 임시 대통령은 이번 충돌과 관련해 “반란 진압을 지시했다”면서도 “과도정부군이 과잉 반응을 해선 안 된다”며 사태 수습을 주문했다. 충돌이 종파 간 갈등으로 확산될 경우, 정권과 자신의 대외적 이미지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간 샤라 임시 대통령은 국제사회로부터 정상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실용·개방 행보를 보여 왔다. 과도정권 수립 세력이 된 HTS가 극단주의 무장단체 알카에다의 연계 조직으로 출발했다는 비판을 받는 가운데 샤라 임시 대통령은 알카에다와 단절했다는 점을 국제사회에 강조해 왔다. HTS가 미국으로부터 극단주의 테러단체로 지정돼 있고 시리아산 석유 무역 금지 등 광범위한 경제 제재가 취해진 상황에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행보로 평가됐다.
그는 여성의 히잡 착용 금지를 강제하지 않기로 했고, 중앙은행 총재에 여성인 마이사 사브린 부총재를 임명하는 등 여성 포용 정책을 펼쳤다. 서방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주요 국가들은 이 같은 과도정부의 행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대시리아 경제 제재 해제에는 신중하게 접근해 왔다. 미국은 올 1월 시리아에 대한 식수와 전기 등 인도적 지원의 제재 완화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번 충돌 과정에서 시리아 과도정부의 민간인 무차별 공격 등이 입증될 경우 샤라 임시 대통령이 추진해 온 경제 제재 해제 등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3761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6269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4700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36160 | 2009.12.07 09: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