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물리학상, 꿈의 신소재 그래핀 연구자에
노벨물리학상, 꿈의 신소재 그래핀 연구자에
기사입력 2010-10-06 10:00 최종수정 2010-10-06 13:42
[지디넷코리아]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영예는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Graphene)을 흑연에서 처음 분리해 낸 2명의 러시아 태생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 한림원 노벨 물리학상 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영국 맨체스터대학의 안드레 가임(52·네덜란드 국적)박사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36·영국·러시아국적)박사를 올해의 노벨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보셀로프는 가임박사 아래에서 박사후 과정(포스트닥)을 거치면서 그래핀에 대해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그래핀을 이용하면 종이처럼 얇은 모니터, 손목에 차는 휴대전화, 지갑에 넣을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탄소 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은 두께가 0.35㎚(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하다. 하지만 강도는 강철의 200배, 다이아몬드의 2배 이상 되며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를 잘 통하고 휘거나 비틀어도 부서지지 않는다.
■러시아 출신의 두 과학자 공동수상의 영예
스웨덴 왕립 한림원 노벨 물리학상 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영국 맨체스터대학의 안드레 가임(52·네덜란드 국적)박사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36·영국·러시아국적)박사를 올해의 노벨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보셀로프는 가임박사 아래에서 박사후 과정(포스트닥)을 거치면서 그래핀에 대해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그래핀을 이용하면 종이처럼 얇은 모니터, 손목에 차는 휴대전화, 지갑에 넣을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탄소 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은 두께가 0.35㎚(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하다. 하지만 강도는 강철의 200배, 다이아몬드의 2배 이상 되며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를 잘 통하고 휘거나 비틀어도 부서지지 않는다.
■러시아 출신의 두 과학자 공동수상의 영예
|
두 과학자의 노벨상 수상은 지난 2004년 스카치 테이프로 연필심과 같은 흑연 덩어리에서 흑연 원자층 한 층을 벗겨내는 데 성공한 것이 계기가 됐다.
이들의 발견이전까지는 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2차원의 극히 얇은 면은 안정된 상태로 존재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래핀은 터치 스크린에 쓰이는 투명전극에서부터 반도체·태양전지 등의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물질로 기대를 모으는 등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한 응용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넓은 면적의 터치스크린을 개발할 수 있는 그래핀을 대량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노보셀로프 박사는 다음 달 10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로 제주도에서 열리는 다산콘퍼런스 참석차 내한할 예정이다.
노벨 물리학상 시상식은 12월10일 스웨덴 스톨홀름에서 열린다. 가임 교수와 노보셀로프 박사는 1000만크로네(약 16억7000만원)의 상금을 반씩 나눠 받는다.
■그래핀은 어떤 물질인가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평면에 6각형으로 연결된 세상에서 가장 얇고 튼튼한 물질이다. 원자두께로 이뤄져 있으며 닭장철사를 연상시키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반도체 제품 생산에 주로 쓰이는 단결정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기가 통하며 구리보다 100배 많은 전기를 흘려도 문제가 없다.
그래핀이란 이름은 탄소를 뜻하는 '그래파이트(graphite)'와 '불포화탄화수소'란 뜻의 '-ene'가 붙여져서 만들어진 조어다.
이들의 발견이전까지는 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2차원의 극히 얇은 면은 안정된 상태로 존재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래핀은 터치 스크린에 쓰이는 투명전극에서부터 반도체·태양전지 등의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물질로 기대를 모으는 등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한 응용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넓은 면적의 터치스크린을 개발할 수 있는 그래핀을 대량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노보셀로프 박사는 다음 달 10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로 제주도에서 열리는 다산콘퍼런스 참석차 내한할 예정이다.
노벨 물리학상 시상식은 12월10일 스웨덴 스톨홀름에서 열린다. 가임 교수와 노보셀로프 박사는 1000만크로네(약 16억7000만원)의 상금을 반씩 나눠 받는다.
■그래핀은 어떤 물질인가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평면에 6각형으로 연결된 세상에서 가장 얇고 튼튼한 물질이다. 원자두께로 이뤄져 있으며 닭장철사를 연상시키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반도체 제품 생산에 주로 쓰이는 단결정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기가 통하며 구리보다 100배 많은 전기를 흘려도 문제가 없다.
그래핀이란 이름은 탄소를 뜻하는 '그래파이트(graphite)'와 '불포화탄화수소'란 뜻의 '-ene'가 붙여져서 만들어진 조어다.
|
그래핀에서 탄소와 탄소가 결합하면 약 0.142나노미터가 된다. 그래핀은 그래파이트, 석탄,탄소나노튜브, 퓰러렌을 포함하는 탄소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이다,







공유(greatcorea)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5741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8142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6826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38281 | 2009.12.07 09:59 |
19.
유전자 조작, 회춘(回春) 성공
2010.12.02,
조회 5376
[생명과학혁명]
과학자들이 나이를 거꾸로 먹게 하는 회춘(回春) 실험에 성공했다. 하버드대 의대 로널드 드피뇨 박사 연구팀은 "늙은 쥐를 대상으로, 유전자 손상을 막는 '뚜껑' 격인 텔로메라제(telomerase)를 강화한 결과, 희게 변했던 털이 다시 짙어지고, 사라졌던 생식 기능이 회복되었다"며 "인간으로 치면 80세 노인의 육체가 젊은이로 변한 격"이라고 말했다.
...
18.
프리모 시스템 규명된다면 암치료 혁신 일어날 것
2010.10.20,
조회 6371
[생명과학혁명]
“‘프리모(Primo) 시스템’은 현대 의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새로운 기전을 밝혀 낼 수 있다.”
지난 17∼18일 이틀간 충북 제천 청풍 레이크호텔에서 열린 ‘봉한학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한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 래리 곽 박사(51)는 ‘경락(經絡:피부나 근육의 반응점(경혈)을 연결한 경로로 한방에서 침구 등에 활용)’을 현대 과학으로 밝혀낸 ‘프리모 시...
>>
노벨물리학상, 꿈의 신소재 그래핀 연구자에
2010.10.08,
조회 5803
[생명과학혁명]
노벨물리학상, 꿈의 신소재 그래핀 연구자에
기사입력 2010-10-06 10:00 | 최종수정 2010-10-06 13:42
[지디넷코리아]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영예는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Graphene)을 흑연에서 처음 분리해 낸 2명의 러시아 태생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 한림원 노벨 물리학상 위원회는 ...
16.
러 과학자 “노화 스톱…불로장생 신물질 발견”
2010.09.17,
조회 5181
[생명과학혁명]
진시황의 평생의 꿈이자 소설 속에서나 볼 수 있었던 ‘불로장생’이 현실에서 가능해질 수도 있겠다. 13일(현지시간) 러시아 매체 러시아투데이(RT.com)는 “러시아 과학자인 블라디미르 스쿠라체브(Vladimir Skulatchev)가 신체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항산화물질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교수는 “지난 40여 년동안 ...
15.
마법 같은 ‘나노 세계’ 가 온다
2010.09.09,
조회 4795
[생명과학혁명]
[신동아]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필름 스피커.
‘공상(空想)’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이렇게 설명돼 있다.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실현될 가망이 없는 것을 막연히 그리어봄.’
SF(Science Fiction)를 ‘공상과학소설’이라고 번역한 옛 사람들은 공상이라는 단어를 널리 알린 한편으로, SF를 천덕꾸러기로 만드는 데 한몫했다...
14.
인류의 100대 과학 사건
2010.09.09,
조회 8578
[생명과학혁명]
1. 불의 이용
초기 인류가 이룩한 가장 큰 기술적 변혁으로는 불의 발견과 그것의 광범위한 사용을 들 수 있다. 인류가 초기에 달성한 기술적 성과 중에 직조와 재봉 등은 이미 몇몇 동물들에 의해 선행되고 있었지만 불은 어떠한 동물도 사용한 적이 없었다. 또한,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이 마찰에 의해서 불을 일으킨 것은 ...
13.
‘나노로봇’으로 암세포 잡는다
2010.09.09,
조회 4953
[생명과학혁명]
수만개의 ‘나노로봇’이 암 환자의 혈관 속으로 주입됐다. 로봇은 온몸을 힘차게 흐르는 혈관을 타고 몸 곳곳을 돌면서 암세포를 추적해 파괴한다. 메모리 카드 하나에 해상도 사진 3만6000장 또는 영화 40편을 저장하거나 전 세계 5대양 6대주 대륙·해양 정보를 담는다. 생물체를 인공합성해 새로운 먹거리를 만든다. 이러한 꿈같은 일들이 현실세계로 성큼성큼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