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5741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8142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6826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38281 | 2009.12.07 09:59 |
200.
지금은 구제역이지만 사람 전염병 나올수도
2011.01.17,
조회 6750
[전염병위기]
동물들의 '반격'이 시작된 것일까. 구제역이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정부의 방역은 초반부터 구멍이 뚫렸고, 살처분 가축의 숫자만 180만 두를 넘어섰다. 국내 축산업은 붕괴 직전의 위기에 놓였다.'재앙' 수준의 이번 구제역 사태를 두고, 공장식 사육 등 철저히 인간의 이윤 창출만을 목적으로 했던 국내의 축산 환경을 근본적으로 성찰해야한다...
199.
구제역·AI·독감 '3대 바이러스와의 전쟁', 전국 초긴장
2011.01.09,
조회 5331
[전염병위기]
▲ 신종플루 백신 생산하는 녹십자
구제역·AI·신종플루·독감 대유행전국이 바이러스 공포에 떨고 있다. 지난해 말 구제역 발생에 이어 조류인플루엔자(AI), 신종플루(인플루엔자 A/H1N1), 독감까지 창궐하고 있어 가히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9일 광주·전남 보건당국 및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구제역이 제주와 전남·북을 제외한 전국 6개 시도로...
198.
동물들 ‘다잉 메시지’… 다음 표적은 인간?
2011.01.09,
조회 5041
[전염병위기]
[서울신문] 2011년 01월 08일(토) 오전 04:13
[서울신문]미국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지구촌 각지에서 동물의 집단 의문사가 잇따르고 있다. 수천 마리의 새떼가 후두둑 땅으로 추락해 죽는가 하면, 강과 바다에서는 물고기 수만 마리의 사체가 발견되기도 한다.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면서 세간에는 단순 사고사 가능성에서부터 환경오염론, ...
197.
"더 이상 못하겠어요" 구제역 수의사들 절규
2011.01.09,
조회 5139
[전염병위기]
방역 인력들, 이직.휴직 신청서 속출포기자만 벌써 수십명, 인력수급 비상
“구제역이 종식되면 저희 직원들이 정신과 치료를 받게 했으면 합니다. 아무리 동물이지만, 살아있는 생명을 죽인다는 게 보통 (심정으로) 하기 어렵거든요. 그래서 굉장히 우울해하는 애들(직원)도 있고요. (마음) 약한 애들을 살처분 현장에 보낼 때는 내 딸 같으면 보낼 수 있을까 생각...
196.
구제역 ‘팬데믹’에서 배운다
2011.01.07,
조회 4849
[전염병위기]
1918년 가을, 스페인독감은 일시에 5000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1차대전 4년 동안 숨진 900만명보다 한달 남짓 동안의 독감 사망자가 5배 이상 많았다. 팬데믹(Pandemic, 전염병의 전지구적 대유행)의 대명사로 불리는 20세기 최대의 바이러스 참사였다. 스페인독감은 그해 8월 말 미국 보스턴의 한 해군 병사에게서 시작해 군용열차를 타고 미국 전...
195.
수도권 구제역 확산 비상
2010.12.15,
조회 5090
[전염병위기]
구제역 살처분 작업(자료사진)
방역당국 "예방 차원, 반경 500m 이내 우제류 가축 전부"(의정부=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 방역당국은 15일 경기도 양주시와 연천군의 돼지농장 두 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긴급 비상 방역에 나섰다.경기북부의 경우 올초 포천과 연천지역 구제역으로 곤혹을 치른 데다 지난 11월 구제역이 발생한 경북지역과 200㎞나 떨어진 ...
194.
신종플루 이어 슈퍼박테리아 국내 첫 발생
2010.12.10,
조회 4804
[전염병위기]
메디컬투데이 My스타뉴스 박주연 기자] 구제역으로 전국이 들썩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다제내성균 일명 슈퍼박테리아 감염환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모 종합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2명으로부터 NDM-1(뉴델리 메탈로 베타 락타메이즈-1) 유전자를 지닌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을 분리했다고 9일 밝혔다. 다제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