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 |
진리가이드 | 135740 | 2010.01.07 16:05 |
![]() |
구제역과 천지병
![]() |
알캥이 | 128139 | 2011.06.08 11:21 |
![]() |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 |
진리가이드 | 136825 | 2009.12.07 10:02 |
![]() |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 |
진리가이드 | 138279 | 2009.12.07 09:59 |
256.
美, 벙커버스터로 이란 핵시설 무력화
2012.03.10,
조회 4588
[상씨름전쟁위기]
美, 벙커버스터로 이란 핵시설 무력화뉴시스 기사전송 2012-03-09 16:58【워싱턴=로이터/뉴시스】이수지 기자 = 65m 두께의 일반 철근 강화 콘크리트를 뚫고 들어가 파괴하도록 설계된 3만 파운드(13.6t)의 벙커버스터 폭탄이 미군이 이란을 공격할 때 사용할 무기라고 미 공군 고위 관계자가 8일(현지시간) 밝혔다. 작전 계획 조달 담당 공군 참모차...
255.
“北, 2009년 핵실험전 백악관에 비공식 위협 메시지”
2012.03.10,
조회 4204
[상씨름전쟁위기]
“北, 2009년 핵실험전 백악관에 비공식 위협 메시지”동아일보 원문 기사전송 2012-03-09 09:42[동아일보]제프리 베이더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은 8일(현지시간) 북한이 지난 2009년 5월 핵실험 전에 백악관에 비공식 위협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주장했다.베이더 전 보좌관은 이날 발간한...
254.
호르무즈 해협서 무력충돌 위기감… 美·英·佛 전함 6대·美 항모, 호르무
2012.01.28,
조회 9227
[상씨름전쟁위기]
호르무즈 해협서 무력충돌 위기감… 美·英·佛 전함 6대·美 항모, 호르무즈 해협 통과 유럽연합(EU)이 이란의 핵개발 저지를 위한 금수 조치를 결정하자 이란이 세계 최대 석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재차 경고하는 등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EU는 이란 경제 제재의 하나로 최대 민간 은행인 테자라트 은행 등 5곳과 개인 3명의 자산을 함께 동결하기로...
253.
"한국, 中에 예속된다던 내 예측 틀렸다" 아미티지 11년만의 고백
2011.12.31,
조회 5519
[상씨름전쟁위기]
[韓·中 수교 20년, 중국을 다시 본다] 다가온 中 패권시대… 한국의 운명은올해 한국과 중국은 수교 20년을 맞는다. 냉전시대 적성국가 중공(中共)으로 불리던 중국은 1992년 8월 24일 한·중 수교 이후 미국과 일본을 뛰어넘어 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떠올랐다. 2010년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 경제대국이 된 중국은 빠른 경제발전과 군사력 신장을 통...
252.
주변4강 한반도 전략 대전환 예고
2011.12.20,
조회 4972
[상씨름전쟁위기]
격변기 맞은 한반도 정세남북, 경색 국면 회귀… 대북사업 전망 불투명4강, 경제지원 통해 北안정-핵포기 유도할 듯김정은 체제 동요 땐 외교적 개입 나설 가능성한반도 정세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따라 대격랑 속에 휘말리고 있다.한반도 정세 흐름의 중심 축을 형성해온 북한 최고 실권자의 갑작스런 사망에 따라 향후 남북관계는 물론, 동북아 정세가 안개 속으...
251.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2011.12.20,
조회 4964
[상씨름전쟁위기]
조선중앙통신 “지난 17일 오전 8시30분 과로로 열차에서 사망”김정은 공식 후계자 확정…사망 발표문에 “김정은 동지의 통치…”
» 19일 낮 북한 조선 중앙방송이 김정일 위원장이 지난 17일 08시 30분에 사망했다고 밝혔다. (사진=MBC 캡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사...
250.
왜 지금 일본은 다시 독도를 원하는가!
2011.11.15,
조회 5212
[상씨름전쟁위기]
안성욱 / 객원기자
동북아의 일본발 영토분쟁현재 동북아시아는 일본발 영토분쟁에 휘말려 있다. 일본은 중국과는 남사군도를 두고 분쟁중이며, 러시아와도 쿠릴열도의 네 개 섬의 영유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다. 그 중 우리 한국과 대립하고 있는 사안은 가장 첨예하고도 예민한 문제이다. 바로 2011년 3월 11일에 있었던 규모 9.0 지진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