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개벽뉴스

[책의 향기]2차 대전이 ‘거대과학’을 낳았다!

2015.01.19 | 조회 5116

[책의 향기]2차 대전이 ‘거대과학’을 낳았다!


김상운 기자


동아 2015-01-10  


◇전쟁의 물리학/배리 파커 지음·김은영 옮김/536쪽·1만5000원·북로드


영화 ‘뷰티풀 마인드’에서 수학자 존 내시는 미소 냉전의 ‘인간병기’로 동원된다. ‘내시 균형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그에게 정부가 소련군 암호 해독 프로젝트를 맡긴 것. 사물의 일상적인 움직임에서 물리, 수학 규칙을 찾아내는 그의 순수 학문이 군사적으로 활용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내시뿐만 아니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폰 노이만, 앨런 튜링 등 당대 최고의 과학자들이 무기 개발에 투입됐다.


과학 입문서를 주로 써온 저자는 이 책에서 물리학 관점에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무기기술의 혁신을 개괄하고 있다. 재밌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20세기 들어 중요한 과학적 성과들이 대부분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등장했다는 점이다. 예컨대 최초의 제트엔진 항공기를 비롯해 레이더, 로켓, 컴퓨터 등이 모두 2차 대전 중에 개발된 것이다.


2차 대전은 물리학 등의 연구방식에도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수많은 연구인력이 한꺼번에 동원돼 집단과제를 수행하는 이른바 ‘거대과학(big science)’이 이때 태동했다. 나치 독일에 맞서 핵무기 개발을 목표로 출범한 미국의 ‘맨해튼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전쟁과 과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책에 따르면 무기의 살상력을 높이기 위한 과학연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전부터 진행됐다. 예컨대 13세기 말 중국인들은 파죽지세로 중원을 위협하는 몽골을 막아내기 위해 화약 연구에 집중적으로 매달렸다. 이 때문에 1280년에는 실험 중 대형 화약고가 폭발해 100여 명의 병사가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당시 만들어진 화약의 폭발력이 워낙 강력해 폭발 잔해가 3km나 떨어진 곳에서 발견됐다는 기록이 전해 내려온다.


기초물리학 이론이 전쟁무기에 어떻게 쓰였는지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책이다. 그렇지만 전쟁을 위한 과학의 복무가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성찰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아인슈타인이 생전에 ‘원자폭탄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지독하게 싫어했다는 얘기 정도가 그나마 위안이 될까.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지구촌 개벽뉴스

rss
지구촌 개벽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천연두가 역사에 던지는 의미 사진 진리가이드 120707 2010.01.07 16:05
공지 구제역과 천지병 첨부파일 알캥이 113014 2011.06.08 11:21
공지 새 문명 창조의 전환점, 전염병 사진 진리가이드 120647 2009.12.07 10:02
공지 전염병, 재앙인가 축복인가? 사진 진리가이드 121913 2009.12.07 0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