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초토화시킨 백두산 화산 폭발의 미스터리

2013.11.28 | 조회 6127

2000년 이래 최대 폭발사건… 증거 찾았지만 기록엔 없어
ㆍ한반도 북단·만주지역 파괴 “지금도 엄청난 마그마 있다”

▲백두산 대폭발의 비밀…소원주 | 사이언스북스



서기 900년대의 어느날 백두산 천지의 분화구에서 엄청난 굉음과 함께 화산 폭발이 시작된다. 마치 샴페인 뚜껑이 따진듯 마그마와 가스로 이뤄진 거대한 기둥이 순식간에 대류권을 뚫고 성층권까지 치솟는다. 하늘 높이 치솟은 화산재 기둥은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다시 땅을 향해 붕괴되기 시작한다. 붕괴된 파편들은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마치 화로에서 연기가 흘러넘치듯 퍼져나가기 시작한다. 화산 폭발로 분출된 파편들이 고온의 가스와 함께 화산의 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화쇄류’가 시작된 것이다.

700~800도에 달하는 거대 화쇄류는 최대 시속 150㎞의 속도로 질주한다. 강풍이 나무를 한쪽 방향으로 쓰러뜨리고 그 위로 뜨거운 퇴적물이 두껍게 쌓인다. 화쇄류는 동식물 생태계를 절멸시켜 100㎞ 이상 먼 곳까지 단숨에 생명체가 없는 화산재의 백색사막으로 만들어 버린다. 한편 거대 화쇄류 상공에 머물던 화산재 구름은 때마침 불던 강한 편서풍을 타고 동쪽으로 확산된다. 초속 120m(시속 400㎞)의 맹렬한 속도로 날아가는 화산재 구름은 3~4시간 뒤 동해를 넘어 일본 열도 북부에 도달한다.

백두산 천지(왼쪽)와 2006년 폭발한 필리핀 메이욘 화산(원안). | 경향신문 자료사진


20세기 후반 주로 일본의 화산학자들과 지질학자들이 땅속 지층을 탐사하면서 재현한 백두산 대폭발의 모습이다. 우리는 흔히 역사상 최고, 세계 최고를 좋아하는데 백두산 대폭발은 인류의 역사 시기, 다시 말해 지난 2000년 이래 최대의 폭발이었다. 화산 폭발시 분화구에서 대기 중에 분출되는 파편들을 통틀어 ‘테프라’라고 하는데 10세기 백두산 폭발에서 분출된 테프라의 부피는 100㎦로 추정된다. 100㎦는 0.002㎦ 부피의 잠실 주경기장 5만개를 합친 크기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남한 땅 전체를 1m 두께로 뒤덮을 수 있는 양이다. 그런데 10세기 백두산 대폭발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은 동북아 어느 지역의 기록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백두산에서 1000여년 전 그토록 엄청난 사건이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한국인이 매우 드문 이유다.

백두산이 영원히 잠자는 산이 아니라 언제든 다시 폭발할 수 있는 엄청난 규모의 마그마를 땅속에 품고 있는 화산이라는 사실을 비롯해 백두산에 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을 상당 부분 깨트리고 바로잡아준다. <백두산 대폭발의 비밀>을 쓴 소원주 울산광역시교육청 장학관(54)은 부산대와 한국교원대에서 지구과학·지질학 등을 공부했다. 그는 1989~1991년 일본 히로사키(弘前) 대학 유학 시절 일본 도호쿠(東北) 지역에 분포한 백두산 화산재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국내에서 거의 유일한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됐다.

위 그림의 점들은 10세기 백두산 대폭발로 인한 화산재가 발굴된 곳이며 숫자는 화산재 단층의 두께다. | 사이언스북스 제공

10세기 백두산 대폭발은 그 규모가 놀랍기도 하거니와 앞서 말했듯 고문헌에 전혀 기록되지 않았기에 미스터리한 사건이기도 하다. 정확한 폭발 시기에 대해선 지질학자, 화산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있지만 대체로 발해가 멸망하던 시기(926년)와 엇비슷한 것으로 추정됐다. 거란의 침략으로 일순간 망해버린 것으로 기록된 발해 멸망 사건의 배후에 혹시 백두산 대폭발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상상을 해볼 수 있다. 이탈리아 남부도시 폼페이가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일순간에 땅속으로 묻히며 멸망했던 것처럼 말이다. 실제로 일본 화산학계의 권위자로서 일본에서 발견된 독특한 화산재 단층을 분석, ‘백두산-도마코마이 화산재’라고 이름붙인 마치다 히로시는 이런 가설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각국 역사학자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10세기 백두산 대폭발에 관한 기록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치다의 가설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주장이었다. 이어진 후속 연구에서 백두산 대폭발이 발해 멸망연도인 926년보다 수십년 늦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들이 나왔다. 10세기 백두산 대폭발이 발해 멸망과 연관이 있든 없는 의문은 남는다. 한반도 북단과 만주 등지를 일순간에 초토화시켜버린 대사건에 대한 기록이 왜 없느냐는 것이다.

저자에 따르면 백두산 대폭발을 멀리서라도 목격했던 사람은 살아남을 수 없다. 한민족뿐 아니라 백두산을 신령스러운 산으로 숭상했던 민족의 사가들이 백두산의 대폭발을 흉사(兇事)로 여겨 차마 언급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제시된다. 당시 백두산 일대의 정세가 혼란스러워 꼼꼼한 역사 서술이 이뤄지지 못했을 수도 있다. 기록이 있는데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이것들은 어디까지나 추론일 뿐 땅이 기록해둔 1000여년 전 역사를 왜 인간이 기록하지 않았는가는 수수께끼로 남는다.

이 책은 화산학에 관한 국내 저자 최초의 개론서가 아닐까 싶다. 화산과는 무관한 지역에 살고 있는 것처럼 여기는 국내 독자들에겐 화산학 용어들이 생소하긴 하지만 발해의 역사와 10세기 백두산 대폭발을 연관시켜 인문학적 상상력을 자극시키는 서술방식이 책을 계속 읽게 만드는 힘을 부여한다.

이 책은 백두산 대폭발에 관한 종합판이지만 새로운 출발점을 제공했다. 대한민국 애국가에 등장하고 수많은 한국인 관광객이 오르고 있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은 우리 역사의 사라진 고리들을 파괴적인 방식으로 숨겨놓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지은이가 상상하는 것처럼 백두산 일대의 땅 속 화산재 더미에 묻혀있을지도 모를 발해의 고대도시들을 발굴하고 지금껏 아무도 노래하지 않았던 역사의 장대한 대서사시를 찾아내는 것은 동북아 국가의 과학계와 인문학계가 국경과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어 협력했을 때만 가능한 일이다. 

<원본출처:>

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1006181736585&code=900308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개벽문화 칼럼